원제: A.I. Director
원문 주소:
https://www.giantbomb.com/ai-director/3015-2539/
역자: brightwing1218
개념
플레이어의 행동과 진척도(Progression)을 관측하는 시스템을 지칭.
관측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의 행동에 대한 보상 혹은 처벌을 위해 게임 플레이의 난이도를 유동적으로 변화시킨다.
개요
AI Director는 극한의 좀비 아포칼립스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Left 4 Dead에서 쓸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특정한 로직에 의해 무기 업그레이드, 총탄, 약품, 파이프폭탄, 화염병, 약국의 스폰 지점을 결정합니다.
또한, 이런 긍정적인 특성들에 더불어, AI Director는 감염자의 스폰 위치, 수량, 돌진해오는 방향, 그리고 특수 감염자들이 얼마나 자주 스폰되는지 등의 내용까지 제어할 수 있는데요,
AI Director는 이러한 긍정 / 부정적인 요소들을 언제, 그리고 어디에 배치할지를 결정합니다.
플레이어의 숙련도와, 이전 감염자들의 공격 혹은 체력 회복 장소 방문 시점과의 간격, 플레이어의 체력 잔량, 난이도 설정, 그리고 그들이 해당 스테이지의 끝 지점에 얼마나 근접해있는지 등과 같은 온갖 팩터에 의해서 말입니다.
이 시스템은 많고 복잡한 트리거에 의해 작동하는데, 예를 들어
If:
Then:
위의 트리거는 실제 게임 시스템의 간소화된 버전에 불과하지만,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AI Director가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한 것이기도 합니다. AI Director는 비교적 덜 다듬어진 맵들에서 사용되는데, AI Director의 능력이 플레이어의 위치에 기반하여 오브젝트를 스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감염자는 플레이어의 시야에서 벗어나 있을 때만 스폰될 수 있고, 체력 회복 아이템과 총탄 아이템은 플레이어의 시야가 닿지 않되, 꽤 가까운 곳에만 스폰됩니다.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Left 4 Dead에서는 커스텀 맵을 제작하기가 매우 쉬운 편입니다. 모드 제작자들이 그들 스스로 오브젝트의 스폰 위치를 일일히 지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죠.
역자의 말
레프트 포 데드를 많이 플레이 한 편은 아니지만,
극적인 타이밍에 어김없이 특수 감염자가 치고 들어오는 절묘한 느낌을 많이 받았던 듯 하다.
와, 이 스테이지는 쉽구나! 하고 든든하게 아이템 챙기고 게임 진행하고 있다 보면, 위의 예시처럼 탱크가 나타난다던가...
액션, 공포, 어드벤처, 전략 등 플레이어 vs 인공지능 구도가 부각되면서도,
플레이타임을 늘리기 위해 반복 플레이 가능성을 확보해야 하는 게임등에 접목된다면 효과적일 것 같다.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소프트 스킬' (0) | 2020.07.04 |
---|---|
(GDC) Data Driven Design을 통한, Stellaris의 복잡한 AI 행동 만들기 (0) | 2020.03.24 |
(GDC) 어새신크리드 오리진: 월드 디자인 데이터의 모니터링과 검증 (0) | 2020.03.08 |
(GDC) ELO, TrueSkill과 같은 멀티플레이어 랭킹 시스템 디자인하기 (0) | 2019.12.23 |
모바일 RPG의 메타 게임 디자인 분석하기 (0) | 2019.12.19 |
댓글 영역